
[데일리한국 장정우 기자] SK텔레콤이 지난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‘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’ 정예팀으로 선정된 이후 수천억에서 수조에 이르는 파라미터(매개변수) 규모의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.
27일 양승현 SKT AI R&D센터장은 SKT 뉴스룸을 통해 “SKT는 기술적으로 도전적인 목표를 세웠다. 수천억에서 수조에 이르는 파라미터 규모의 초거대 모델을 구축하고, 여러개의 작은 전문가 모델들이 모여서 하나의 큰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의 MoE(Mixture of Experts) 방식을 도입해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예정”이라고 밝혔다.
또 “기존에 보유한 에이닷엑스(A.X) 시리즈 모델을 넘어 프롬 스크래치(From Scratch)로 새롭게 설계·학습해 글로벌 프런티어 모델의 95% 이상 성능을 달성하고, 최종적으로는 독자적인 포스트 트랜스포머 모델을 만들어 성능과 효율성 모두 세계 최고들과 경쟁할 만한 수준을 달성하겠다”고 말했다.
정예팀으로 선정된 SKT 컨소시엄은 언어 중심 모델을 넘어 △텍스트 △음성 △이미지 △비디오 △행동(에이전트)를 융합하는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. 단순히 질문에 대답하는 수준을 넘어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며, 복잡한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하는 지능형 AI 에이전트로 진화하는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.
양 센터장은 “SKT 컨소시엄이 개발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은 기술 성과에 그치지 않고, 대한민국 산업 전반에 큰 파급효과를 미치게 될 것”이라고 강조했다.
SKT는 SK 그룹사와 컨소시엄 참여사를 중심으로 모델을 적용·확산시킬 예정이다. SK하이닉스, SK이노베이션, SK AX, SK브로드밴드 등 주요 관계사, 최종현학술원, 한국고등교육재단을 포함해 20여개 기관이 참여 의향서를 제출해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과 검증을 함께 하기로 했다.
양 센터장은 “국내 확산에 머무르지 않고, 글로벌 시장 진출도 계획하고 있다. K-AI 모델은 한국어뿐 아니라 영어, 다국어를 지원하며, 한국적 맥락과 글로벌 표준을 동시에 충족하는 강점을 지닐 것”이라며 “한국형 AI가 단순 추격자가 아니라 독자적인 경쟁자로 글로벌 무대에 자리 잡게 할 것”이라고 밝혔다.
또 “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새로운 AI 모델을 만드는 일이 아니다. 대한민국의 AI 주권을 확립하고, 앞으로의 10년, 20년을 책임질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일”이라며 “국민 누구나 쓸 수 있는 AI,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AI, 그리고 세계 시장에서 당당히 경쟁하는 K-AI를 만드는 일”이라고 설명했다.


